[Step-by-Step 천체관측 2] 별자리를 알아보자

별자리는 인류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빛나는 천체입니다. 하늘에 수많은 별들이 흩어져 있는데, 이 중에서도 특정한 모양이나 패턴을 이루는 별들의 집합을 별자리라고 합니다. 별자리는 우리가 하늘을 바라봤을 때,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천체 중 하나이며, 옛 시대부터 사람들은 별자리를 통해 방향을 잡거나 이야기를 전해왔습니다. 이제 함께 별자리의 기원, 상식, 그리고 계절별 주요 별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별자리를 알아보자
별자리를 알아보자

별자리를 알아보자

1. 별자리 기원

별자리는 각 나라, 지역별로 다르게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이를 하나로 통합하면서 오늘날 별자리가 정립된 것입니다. 별자리의 기원은 다양한 문화와 전통에 따라 다르게 전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별들 사이의 연결을 관찰하고 이를 특정 동물이나 사물의 모양으로 연상하여 별자리를 만들었습니다.

유목민들은 가축을 키우고 유목생활을 하면서 밤하늘을 쳐다보았고, 밝은 별들을 연결시켜 동물이나 사물을 연상해 별자리로 표현했습니다. 또한, 고대 이집트의 천문학이 그리스로 전해지면서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이나 동물들의 이야기를 별자리로 표현했습니다. 이런 별자리가 15세기까지 유럽에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다른 문화에서는 별자리가 계절이나 작물의 수확과 연관된 농경학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별자리의 기원은 인류의 역사와 문화에 깊은 흔적을 남겼으며, 우리는 그 속에 많은 이야기와 의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20세기 초에 들어, 별자리의 이름이 지역마다 다르게 사용되고 있고 많이 달라서 자주 혼란을 빚었습니다. 1922년 국제천문연맹은 별자리의 계통 정리를 제안했고, 1928년에 총 88개의 별자리를 확정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현재 우리가 다같이 쓰고 있는 별자리를 정립하게 되었습니다.

2. 별자리 상식

별자리에 대한 상식은 우리가 하늘을 관찰하고 별자리의 방향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선 지난 글에서 알아보았던 것처럼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따라 별들은 일주운동과 연주운동을 합니다. 별들은 일주운동으로 1시간에 약 15°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합니다. 또한, 별들은 연주운동으로 하루가 지난 같은 시각에 약 1°씩 서쪽으로 이동합니다. 이 때문에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다르게 되는 것입니다. 계속해서 변하는 별자리의 위치를 쉽게 찾는 방법은 길잡이 별이나 별자리를 활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각 계절별 특정 시간에 잘 보이는 별이나 별자리를 먼저 찾고나서 다른 별자리를 찾습니다.

북쪽 하늘의 별자리를 알고 있으면 별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북쪽 하늘 별자리는 계절과 상관없이 우리나라에서 언제나 확인할 수 있는 별자리입니다. 물론 주변에 높은 건물이나 산이 있어서 시야를 가리게 되면 관측이 어렵지만, 이러한 장소의 문제가 아니라면 날이 맑다면 언제든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다른 별자리를 찾는 길잡이 별자리가 되기도 합니다. 북쪽 하늘 별자리에는 북극성을 중심으로 카시오페이아자리, 작은곰자리, 큰곰자리가 있고, 그 근방에 기린자리, 세페우스자리, 용자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별자리의 상식을 알고 있으면 하늘을 관측하고 별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계절별 주요 별자리

각 계절마다 특정한 주요 별자리들이 두드러지게 관찰됩니다. 봄에는 목동자리와 아르크투루스가 높게 떠 있으며, 여름에는 거문고자리와 오리온자리가 밤하늘을 장식합니다. 가을에는 포말하우트와 페가수스자리가 보기 좋은 위치에 있고, 겨울에는 큰개자리와 헤라클레스자리가 밤하늘을 밝혀줍니다. 이러한 계절별 주요 별자리를 알고 있으면 하늘을 관측하고 별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봄에는 목동자리의 아크투르스가 높게 떠 있습니다. 이 별을 중심으로 쳐녀자리 스피카, 사자자리 데네볼라가 모여 봄철 대삼각형을 이룹니다. 봄철 대삼각형은 봄의 별자리들을 찾는데 길잡이가 됩니다. 목동자리의 아크투르스는 또한 봄의 대곡선을 이루는 중심 별이기도 합니다. 봄철 별자리에는 목동자리, 처녀자리, 사자자리, 작은사자자리, 사냥개자리, 머리털자리, 왕관자리, 까마귀자리, 컵자리, 바다뱀자리 등이 있습니다.

여름

여름에는 거문고자리를 중심으로 데네브, 견우와 직녀가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룹니다. 여름철 별자리들을 찾는데 길잡이가 됩니다. 여름 밤에는 은하수가 하늘 한 가운데를 가로지르고 있으며, 은하수와 여름철 대삼각형을 중심으로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 돌고래자리, 화살자리, 방패자리, 궁수자리 등을 볼 수 있습니다.

가을

가을 밤에는 더욱 집중하여 별자리를 찾아야 합니다. 다른 계절에 비해 밝은 별이 없기 때문입니다. 가을 밤 하늘 가운데에 페가수스자리의 몸통부분을 중심으로 가을철 대사각형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대사각형을 길잡이 삼아 다른 별자리들을 찾으면 도움이 됩니다. 가을철에는 페가수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페르세우스자리, 삼각형자리, 양자리, 물고기자리, 고래자리, 물병자리, 염소자리, 남쪽물고기자리 등을 볼 수 있습니다.

겨울

겨울 밤하늘에는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오리온자리의 베텔기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이 겨울철 대삼각형을 이룹니다. 이 대삼각형은 겨울철 별자리의 길잡이가 되어 별자리를 찾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오리온 자리의 벨트 부분을 중심으로 찾아봐도 좋습니다. 겨울철은 다른 계절보다 별이 많으며 다양해 별자리를 관측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라고합니다. 안드로메다 은하, 오리온 성운, 플레이아데스산개성단 등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은하와 성운, 성단이 있습니다. 겨울에는 오리온자리, 큰개자리, 작은개자리, 외뿔소자리, 게자리, 쌍둥이자리, 황소자리 등을 볼 수 있습니다.

결론

별자리는 우리가 하늘을 관측하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천체입니다. 그들의 기원과 상식, 그리고 계절별 주요 별자리를 이해하면 하늘을 관측하는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습니다. 별자리는 우리에게 우주의 신비로운 세계를 탐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함께 하늘을 바라보며 별자리를 발견하는 즐거움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